신생아는 통일이 없는 전신운동밖에 하지 않는다. 삼키기·재채기·기침·구역질이나 파악(把握)의 반사, 바빈스키(Babinski) 반사[5], 모로(Moro) 반사[6] 등도 최초는 전신운동을 수반한다. 이 미분화한 전체 운동이 차차로 특수한 부분만이 활동하도록 분화하여, 끝내는 부분 운동 사이에 조금씩 통일된 연관이 생기게 된다. 이 경향은 국부운동의 각 부분 운동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7] 전체 운동에서 특수 부분 운동으로의 분화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된다. 즉 머리·목의 운동에서 팔·상반신·하반신·다리로 발달한다. 발달은 중심에서 외부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손의 운동은 팔의 운동보다 늦게, 손가락 끝의 운동은 그보다 더 늦게 발달한다.[7] 한편 영아기에는 생후 7개월을 전후해서 앉기를 할 수 있으며, 생후 10개월을 전후해서 길 수 있으며 13~16개월을 전후해서 일어서기와 걷기를 시도한다. 사회성 발달 사회적 행동은, 유아(乳兒)가 인물과 사물의 구별을 하기 시작한 다음에 시작된다. 사람의 소리가 나면 그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성인의 미소에 미소로 응답하고, 주위에 사람이 있으면 쾌활해지며, 손발을 움직이고 기쁨을 표시한다. 이러한 생후 2~3개월의 반응이 최초의 사회적 행동으로 간주된다. 이와 같이 먼저 성인과의 사회적 반응이 시작된다. 5~6개월에서 어머니와 타인과의 구별이 가능하게 된다. ‘낯가리기’도 이 무렵에 나타난다. 표정의 이해도 하게 된다. 10개월경이 되면 서투른 말이 시작되고, 근 1년쯤 되면 어른의 요구나 의사를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하며 모방도 나타난다.[8] 다른 어린이와의 관계는, 4~5개월 정도가 되어서 다른 어린이에게 웃음을 보이고, 특히 응애응애라는 울음소리에 주의를 하는 등의 행동부터 시작된다. 6개월 이후가 되면 상대편에 손을 내민다든지, 완구의 쟁탈 정도의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8] 언어 발달 1개월 이내의 신생아는 호읍(號泣)·몸짓·폭발음 등으로 환경과의 교섭을 갖는다. 그리고 2개월경에 내는 일종의 남어가 되는 폭발음은 발성기관의 무의식 운동에 의해서 생기며, 돌발적이긴 하나 다분히 감정 표현으로서 일어난다. 초기의 발음은 모음인지 자음인지 분간할 수 없는 미분화한 복합음이지만, 먼저 모음, 이어서 파·바·마·다…라·사 행(行)의 순으로 자음이 분화한다. 처음에는 대단히 부정확하고, 생략·난음(亂淫)·이행(移行)·전치(轉置)·첨가·융합 등의 현상이 오청(誤聽)·오발음(誤發音)의 결과로서 많이 나타난다. 또 남어는 폭발음과 구별하기 어려우나 감정 표현으로서가 아니라, 소리를 낸다든지 듣는다든지 하여 기뻐하는 일종의 유아의 유희로서 3~8개월경에 왕성하다. 그러나, 아직 특정한 사상(事象)과의 관련은 없다. 10~12개월경에 음성이 특정한 사상과 결부되어 의미가 가해져서 비로소 언어가 시작된다. 최초에는 형식상의 단어에 불과하지만, 의미나 내용상으로 보면 하나의 문장이 되는 1어문(一語文)이 요구나 호소로서 발해진다.[9] 한편 영아기에는 언어습득과 관련해서 옹알이를 한다.
카테고리 없음
아가발달과정
반응형